혈압 정상 수치 총정리! 연령·성별·임산부 기준까지 한눈에

‘과연 나의 평소 혈압 정상 수치는 얼마나 될까?’ 하는 생각도 해보셨을법한데 그냥 숫자라고 넘기기에는 이 수치가 건강에 너무나도 중요한 기준일이랍니다.
혈압은 단순히 수치가 아닌 심장과 혈관 건강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 입니다. 3대 질환 중에 하나인 고혈압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도 조용히 심장과 뇌혈관을 손상시키는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우는 만큼 무서운 질환이기에 30줄, 40줄을 넘기 시작할때면 내 혈압이 정상인지, 고혈압 전 단계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관리를 해야하는 시기가 도래하실 겁니다.

그래서 이번글에서는 정확한 혈압 정상 수치와 함께 연령·성별·임산부 기준, 고혈압 전 단계 구분법, 그리고 실천 가능한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혈압 정상 수치 요약정리

혈압 정상 수치는 수축기 혈압이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대한고혈압학회과 WHO 기준에 따르게 되면,

  • 정상 혈압: 120/80mmHg 미만
  • 주의 혈압: 120~129/80mmHg 미만
  • 고혈압 전단계: 130~139/80~89mmHg
  • 고혈압: 140/90mmHg 이상
구분수축기 혈압 (mmHg)이완기 혈압 (mmHg)
혈압 정상 수치120 미만80 미만
고혈압 전 단계120~13980~89
고혈압 1기140~15990~99
고혈압 2기 이상160 이상100 이상
(*수축기: 심장이 수축할때의 혈압 / 이완기 : 심장이 이완할 때의 혈압)

으로 나뉠 수 있으며 스트레스, 수면, 식습관, 운동 여부에 따라서도 수시로 달라지기 때문에 관리할 시기가 도래하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생활관리가 필요합니다.

연령별 혈압 정상 수치

연령별 혈압 정상 수치
연령대정상 혈압 기준주의사항 요약
청소년 (13~18세)110~120 / 70~80 mmHg비만, 패스트푸드 섭취, 운동 부족 주의 필요
성인 (19~64세)120 미만 / 80 미만스트레스, 나트륨 과다 섭취, 운동 부족이 주요 위험 요인
고령자 (65세 이상)130~139 / 80~85 mmHg저혈압보다는 안정적 혈류 유지가 중요, 너무 낮은 수치는 위험

젊은 분들에 비해서 나이가 점차 많아질수록 약간의 높은 혈압이 허용 되기도 하겠지만, 낙상, 어지러움 등도 함께 고려해서 유연한 관리가 필요하답니다.

남녀별 혈압 정상 수치

남녀별 혈압 정상 수치

혈압은 기본적으로 남녀 모두 수축기 기준으로 120미만 / 이완기 80미만이 정상으로 간주되긴 하지만, 성별에 따라서 평균 혈압 수치에는 아주 미묘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참고하셔야 합니다.

성별정상 혈압 기준 (mmHg)특징 요약
남성120 미만 / 80 미만평균적으로 여성보다 수축기 혈압이 약간 높음 (특히 중년 이후)
여성120 미만 / 80 미만폐경 전에는 남성보다 낮은 경향, 폐경 후 혈압 상승 빈도 ↑
  • 여성은 20~40대까지는 에스트로겐의 혈관 보호 효과가 있기에 혈압이 남자보다 낮은 편이나, 폐경 이후로는 혈압 상승 속도가 가파르게 증가하기에 이때 눈여겨 봐야 할것입니다.
  • 남성은 복부비만, 흡연, 음주, 습관 등으로 인해 젊은 나이 때에도 혈압 상승이 쉽게 시작될 수 있으니 유의 하셔야 해요.

임산부 혈압 정상 수치 및 주의할점

임산부 혈압 정상 수치 및 주의할점

임신 중의 혈압은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동시에 좌지 우지 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인 정상 혈압 기준(120/80 mmHg)은 임산부에도 적용되어 지지만, 임신성 고혈압(PIH)이나 자간전증 등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답니다.

구분수축기 / 이완기 기준해석 및 관리 필요성
정상 혈압120/80 mmHg 미만이상 없음. 일반적인 건강 관리 유지
경계 혈압 (주의)130139 / 8089 mmHg고혈압 전 단계, 체중 증가·부종·단백뇨 동반 시 정밀 검사 필요
고혈압 (PIH 진단)140/90 mmHg 이상임신성 고혈압 또는 자간전증 의심, 전문 진료 즉시 필요

특히 임신 20주 이후부터 생기는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은 자간전증 초기 증상일 수 있으며, 정기 검진 이외에도 자가 혈압 측정기를 통해 모니터링을 해야 한답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 시야 흐림
  • 심한 두통
  • 부종 심화
  •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임산부 혈압은 단순한 수치를 보는 것보다는 신체 변화와 증상을 함께 관찰하면서 의사의 지시와 소견에 따라는 것이 핵심이죠.

고혈압 전단계 vs 정상혈압

고혈압 전단계 vs 정상혈압

간혹 사람들이 “아직은 고혈압은 아니니까 괜찮겠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분명히 계실겁니다. 허나, 고혈압 전 단계(120~139 / 80~89 mmHg)는 생활습관 개선이 꼭 필요한 시점이랍니다. 이 단계는경계성 고혈압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수축기 혹은 이완기 수치 중 하나만 높더라도 이에 포함되기 때문이죠.

  •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등이 함께 있는 경우엔 고혈압 진행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 특히 복부비만이 있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과 염증 수치 상승으로 인해 혈압조절이 더욱 어려워 진답니다.
  • 이 단계에서는 식이조절, 운동, 체중 관리 만으로도 충분히 정상 혈압으로 회복할 수 있죠.
  • 카페인, 나트륨 섭취가 잦고, 불면증에 있는 경우에서도 전단계에서는 쉽게 고혈압으로 악화될 수가 있습니다.

만약에라도 전단계에서 나쁜 생활습관들을 방치하게 될 경우 대부분 1~2년 이내에 고혈압 1기로 진입하게 된답니다. 그렇기에 조기 개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자가 혈압 측정기를 활용해 하루 2회 이상은 기록해 내 혈압의 패턴을 파악해 둬야 합니다.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 이유

  • 고혈압으로 인해 생기는 심장질환 예방
  • 뇌졸중, 심근경색, 혈관성 치매 예방
  • 만성 신잘 질환(콩팥병) 예방
  • 시력 저하 및 망막 손상 예방
  • 혈관 노화 속도 지연

정상 혈압을 유지하기 하기 위해서는 생활 전반적으로 혈관 건강에 힘써줘야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으며, 특히 40세에 접어드시는 분들이라면 무증상이라도 정기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하답니다. 아울러 가족력이 있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혈압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혈압 정상 수치를 위한 식단

일명 DASH 식단(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이라고도 불리우는데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해 권장되는 대표적인 식단 종류 중에 하나입니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칼륨·마그네슘·칼슘이 풍부한 식품을 늘리기 위한 목표인것이 이 식단의 핵심이죠.

식품군섭취 권장 식품피해야 할 식품
탄수화물현미, 통밀빵, 귀리, 고구마 등흰쌀, 흰빵, 정제 밀가루
단백질생선, 닭가슴살, 두부, 콩류가공육(햄, 소시지), 튀김류
채소·과일브로콜리, 시금치, 바나나, 토마토 등피클, 절임류, 과도한 과일 주스
간식·음료무가당 요거트, 견과류, 물탄산음료, 가당 커피, 에너지 음료 등

식단 조절만으로도 혈압 수치를 5~10 mmHg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는 만큼 꾸준한 식단 습관은 약물보다도 장기적인 효과를 낼 수가 있는 부분입니다.

혈압 정상 수치를 위한 생활습관 BEST5

  1. 하루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 평소에 운동을 안하셨던 분들이라도 가볍게 시작할 수 있는 산책, 걷기, 런닝, 자전거, 수영 등의 꾸준한 활동을 통해 혈관 탄력 유지 효과를 보실 수가 있을거랍니다.
  2. 나트륨 섭취 줄이기 : 쉽지는 않겠지만 하루 2g 이하, 국물·가공식품·장류를 피하시는게 좋답니다.
  3. 정기적인 수면 패턴 유지 : 불면증과 같은 수면 부족은 혈압 상승과 직접 적인 연관이 있으므로 수면치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4. 스트레스 관리 : 개인적인 취미거리, 명상, 여행 등으로 본인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데 신경을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5. 금연과 절주 : 흡연은 혈관 수축 유발을 하기에 끊는걸 권장하고, 음주는 끊을 수는 없더라도 주 1~2회 정도로 줄이는 것부터 시작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러한 습관들은 약물 치료와 병행을 할때 효과가 배가 되기는 하지만, 조금이라도 젊을때 고혈압 관리를 시작한다면 비약물 효법보다도 효과 크기 때문에 조기관리는 필수!

자주 묻는 질문(Q&A)

질문1. 하루 중 언제 혈압을 재는 게 가장 정확한가요?

기상 후 1시간 이내, 식사 전, 화장실 다녀온 후 조용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2. 혈압이 낮다고 해서 좋은 건 아니죠?

맞습니다. 수축기 혈압 90 미만, 이완기 60 미만인 경우 저혈압이며, 현기증, 피로, 집중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집에서 잴 때마다 수치가 다른데 왜 그런가요?

측정 환경, 자세, 긴장도 등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같은 시간, 같은 조건에서 하루 2회 측정해 평균을 기록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